-
[쉐어하우스]인테리어하기(페인트)기록 Memorize/WorkLife 탐구생활 2022. 7. 24. 12:00반응형
집의 모든 것을 다 바꿔서 새것으로 바꾸고 싶었지만, 정해진 예산에서 인테리어를 해야했기 때문에
페인트, 도배장판, 전등정도만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방문, 욕실문, 창문, 붙박이장문의 목공시공은 페인트로 대체해서 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주방의 상・하부장, 싱크대, 신발장도 바꾸고 싶었지만 페인트칠하면 새것이 될꺼라 믿어의심치 않으며,,,
페인트 시공을 해야한다.
먼저 시공업자를 찾아야되겠지요?
저는 아는 사람의 소개로 시공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시공 하는 중에도, 하고 나서도 너무너무 후회했었던 결정이에요.
그 땐 아무것도 몰라서 어디서 시공하는 사람을 찾아야되나, 잘 하는 업자인지 내가 어떻게 아나?
해서 그냥 의심없이, 아무런 비교없이 계약을 해버렸어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저같은 우를 범하지 않으시길 바라면서.
=====================================
1/ 페인트 시공업자 찾는 방법
2/ 계약시 중요포인트
3/ 페인트 시공 순서
4/ 페인트 시공 중간점검 및 마무리점검
=====================================
1/ 페인트 시공업자 찾는방법
시공업자를 찾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① 페인트 판매, 취급하는 곳
페인트 종류도 국내산 페인트, 수입산 친환경페인트가 있는데 시공하고싶은 페인트를 결정했다면
그 페인트의 판매, 취급하는 곳에 컨택해 시공업자를 소개시켜달라고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부분 전문가를 소개시켜주며, 실습생이 오는건 아닌가?의 불안함은 없을 것입니다.
② 숨고
숨고는 인테리어를 진행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한 사이트입니다. 우리 집 인테리어 이정도면 얼마정도 견적이 나오는지
빠른 시간에 견적 비교가 가능하거든요. 물론 정확한 견적은 집을 보고나서이기도 하고 너무 싼 것은 재료도 확인해야됩니다만 대충의 견적비교를 해서 괜찮겠다. 믿음이 간다 하는 곳으로 컨택해서 시공하시면 됩니다.
③ 인테리어 카페
인테리어 카페에도 집의 상태나 어디부분을 시공하고 싶다. 견적 요청하면 쪽지로 답장이 오기 때문에 견적비교가 가능하고, 마음에 드는 곳의 컨택과 시공계약을 하면 됩니다.
④ 아는 사람 소개, 친인척?
말리고싶습니다.(물론 검증 된 사람이면 ok입니다만, 제가 할 때에도 검증되었다고 얘기듣고 진행한거라,,,)
2/ 계약시 중요포인트
시공업자를 찾으셨나요?견적도 받으셨지요?
온라인 상에서 대충의 견적을 받으신 다음, 직접 집을 보고 정확한 견적을 받으셔야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우리가 페인트 시공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계약할 때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①시공하는 인원과 경력
인테리어는 몇 명이 시공하는지도 중요하지만 경력을 무시하지 못합니다.
제가 페인트 시공 맡겼을 때 결과물이 만족스럽지 못해(제가 너무 꼼꼼한거이기도 하지만) 이것저것 A/S요구했더니 실제 저희 집 페인트시공으로 투입된 인원은 11명, 3일동안 했다는 답이 왔었어요. 그래서 뭐 어쩌라고? 실습생 잔뜩 데려다가 해서 결과가 잘 안나온걸...인원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경력이 중요한거지요.
②페인트 시공 순서, 횟수, 신경쓰이는 것들의 협의
시공업자에게 시공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확인하시고, 추가해야할 사항이나 이것은 신경써달라 라는 것을 이 때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샌딩작업을 꼼꼼하게 해달라. 구멍이 난 부분은 퍼티작업을 꼼꼼히 해달라 등.
③중도금 지불 협의
계약서 상에는 공사진행 50%시 중도금을 지불한다. 라는 내용이 있는데 언제가 공사진행 50%냐?를 우리는 모르잖아요.
무엇을 확인해서 OK가되면 중도금을 지불할껀지를 협의해야합니다.
저는 업체쪽에서 50% 됐으니까 주세요~라는 말에 그냥 줬었는데, 다 되고 난 뒤 계약서에 기입을 해놨어야하했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④잔금 지불 협의
잔금도 중도금과 마찬가지로 어떤것을 확인해서 OK가 되면 줄 것인지 얘기해야됩니다.
금액을 주기 전에 우리 쪽에서 확인할 껀 꼭 확인하고 짚고 넘어가서 이 정도면 OK일 때 지불해야됩니다.
나중에 후회하시지 마시고 이 부분이 너무너무 중요한 것 같아요.
아래는 실제 제가 계약했던 계약서 일부입니다.
3/ 페인트 시공순서
①보양작업
②퍼티, 샌딩 등 다듬기
③젯소, 프라이머작업
④페인트(2회 or 3회)
시공순서를 보시고 중도금, 잔금지불의 시기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젯소작업, 페인트 작업 들어가기 전에 퍼티, 샌딩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시는 게 좋을 것 같죠?
저는 마지막에 샌딩이 제대로 안 된 부분이 있었는데 그 정도는 좀 봐주라는 업체측 말에 어이상실.
페인트까지 다 발라놨으니 늦게 얘기한 제 잘못이라 생각하며 넘겼네요.
4/ 페인트시공 중간점검 및 마무리점검
중간점검 및 최종점검 항목으로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어보았습니다.
물론 전문가의 의견은 다를지 모르겠지만 고객 입장에서 확인항목은 이정도가 아닐까싶어요.
(더 있다면 피드백 주시길...)
그리고 위 항목으로 체크해보자는 의미에서 체크표도 만들어봤었는데 실제 사용해본결과 나 혼자의 체크로는 의미가 없었어요. 꼭 업체와 함께 꼼꼼하게 체크해야하는 부분입니다.
★몰딩부분은 벽지를 제대로 제거하고 페인트칠 했는지 확인하셔야합니다.
벽지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나중에 도배할 때 페인트칠이 제대로 안된부분이 나타나게됩니다!
노랑부분은 우리 집에서 페인트시공한 영역, 연두섹은 체크해야할 부분.
체크해놓고 안된부분에 대해서는 포스트잇을 실제 문에 붙여놓아서
나중에 잊어먹지 않게 잘 되었나 확인까지 하시길바랍니다..
아주 쌩 초보, 페인트의 '페'자도 몰랐었는데 해보고나니 다음에는 더 잘할 수 있겠다 생각이 듭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제가 후회하거나 실패한 부분에 대해서 더욱 잘 하실 수 있으리라.
반응형'기록 Memorize > WorkLife 탐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생활]외국계기업 입사하게된 동기 (0) 2022.09.21 [쉐어하우스]인테리어하기(도배・장판) (0) 2022.07.25 [쉐어하우스]인테리어하기 (0) 2022.07.23 [퇴직]목표 정하기-버킷리스트(퇴킷리스트) 작성 (0) 2021.10.08 [퇴직]노후 연금 알아보기 (0) 2021.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