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피터드러커#1(The effective executive-Peter drucker)기록 Memorize/Review 후기 2021. 5. 11. 23:41반응형
OUTPUT이 중요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HOW의 부족함에 답답해 하던 중 찾은 책.
읽으면 읽을수록 주옥같은 내용이어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곱씹을 수 있도록 몇 차례 걸쳐 상세히 적으려고 한다.
읽기 전 - 작가, 목차 및 프롤로그
■피터드러커 그는 누구인가?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의 작가이자 경영학자로 스스로는 “사회생태학자(social ecologist)”라고 불렀다. 그의 저서들은 학문적으로나 대중적으로 널리 읽혔는데 주로 어떻게 인간이 사업과 정부기관과 비영리단체를 통하여 조직화되는가에 대한 탐구에 관한 내용이었다. (위키피디아)
1933년 영국으로 건너가 은행, 보험회사, 증권회사 등에 근무했다. 1937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에는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는 한편 GM, GE와 같은 기업들에 대한 컨설팅을 하기도 했다.(책의 지은이 설명에서)
■프롤로그
목표달성 과정에서 자기관리도 못하는 경영자에게 회사와 부하직원을 제대로 관리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경영자의 목표달성 능력에는 분명하고도 매우 간단한 요소가 필요하다. 그것은 몇몇 습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는 그런 습관들을 제시하고 논의한다.
>>나 자신을 경영, 관리하기 위해 이 책을 읽고 나의 습관으로 바꿀 준비를 하자.
■목차
1장. 목표달성 능력의 습득방법
2장. 자신의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3장. 공헌할 목표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
4장. 강점을 활용하는 방법
5장. 중요한 것부터 먼저 해결하는 방법
6장.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주는 방법
7장. 목표를 달성하는 의사결정 방법
8장. 지식글로자의 현실적 방법
결론. 목표달성 능력은 배워야만 한다
>>나의 답답함을 들여다보기라도 했는지 목차만 보더라도 빨리 읽고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결론의 『목표달성능력은 배워야만 한다』는 중요한 메세지로 배우면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의미. 나도 할 수 있는 것일까?
읽는 중 - 남기고 싶은 문장
1장. 목표달성 능력의 습득방법
2장. 자신의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1. 목표달성 능력의 습득방법
P.12 육체노동자에게는 능률(efficiency)만 필요했다. 그것은 올바른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이 아니라 주어진 일을 올바르게 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do things right)이다.
P. 15 지식근로자는 스스로 방향을 정해야만 하고, 그 방향은 성과와 공헌, 다시 말해 목표달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P. 19 목표달성 능력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하나의 습관이다. 즉 습관적인 능력들의 집합이다.
P. 20 목표달성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것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노력으로 달성할 수 있는 역량이다.
>>목표달성능력은 습관, 노력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한다. 그 습관이란 무엇일까?
2. 자신의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P. 24 시간의 공급은 완전히 비탄력적이다. 아무리 수요가 커도 시간의 공급은 증가하지 않는다. 시간에는 가격도 없고, 한계효용곡선이라는 것도 없다. 게다가 철저하게 소멸되는 것으로서 저장도 불가능하다. 어제의 시간은 결코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간은 언제나 심각한 공급부족 상태에 있다.
P.25 목표를 달성하는 지식근로자를 그렇지 않은 사람과 구분시키는 특성으로서 시간에 대한 충실한 관리만큼 중요한 것은 없는 듯하다. 그런데도 사람은 자기 시간을 관리할 자세가 돼 있지 않다.
>>시간에 대한 개념에 대해 바로잡아준다. 무한할 것 같고, 공짜(여기서는 가격도 없다라는 표현)이기 때문에 생각없이 버리고 있는 시간. 정신을 차리자.
P.31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시간이 상호작용 그 자체에 사용되므로, 작업・성취・결과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은 그만큼 줄어들 것이다.
P.34 사람에 관한 결정은 시간이 소요되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하느님이 인간을 조직의 [자원]으로 창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조직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에 알맞은 크기와 모양으로 태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인간은 그런 일에 맞게 조립하거나 다시 만들 수도 없다. 사람은 언제나 기껏해야 [대체로 맞는]수준에 그친다. 따라서 사람들을 부려서 과업을 성사시키는 것에는 많은 시간, 심사숙고, 그리고 판단이 필요하다.
>>관리자가 조직을 운영할 때, 사람에 관한 결정을 할 때 가지고 있어야 하는 개념을 예를 들어서 설명해준다. 감독한계 폭(Span of control) 과 같은 이론에서부터 GM의 최고경영자 사례 등 어느 회사에서나 적용 가능한 내용인 것같다.
실제 사용 시간을 진단한다
(P. 38) 1. 첫째, 전혀 필요가 없는 일, 즉 어떤 결과도 거둘 수 없는 완전한 시간낭비형 일을 찾아내 제거해야 한다.・・・어떤 활동이 그가 공헌해야 할 조직, 자기 자신 또는 그 활동의 결과물을 사용하는 조직에 아무런 공헌을 하지 않는다면, 그가 꼭 해야 할 것은 [노(no)]라고 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일이다.
(P. 39) 2. 그 다음 해야 할 질문은, [내 시간 운용표에 기록된 활동 가운데, 다른 사람이 더 잘하지는 못한다 해도, 최소한 나만큼은 잘 할 수 있었던 일은 어떤 것인가?]하는 것이다.
(P. 42) 3. 시간 낭비의 일반적인 원인은 대체로 지식근로자가 스스로 통제할 수 있고 또 스스로 제거할 수도 있는 것들이다. 그것은 자신이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셈이다.・・・[내가 하는 일 가운데 당신의 목표 달성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으면서 당신의 시간만 낭비하게 하는 일은 없는가?]
시간 낭비 요인을 제거하라
(P.45) 1. 시스템의 결함 또는 앞을 내다보는 안목의 결여에서 오는 시간 낭비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P.48) 2. 시간 낭비는 종종 인력 과잉의 결과다.
(P.50) 3. 시간 낭비의 또 한 가지 요인은 조직구조상의 결함이다. 예를 들면 회의를 매우 빈번히 갖는 것이다.
(P.53) 4. 마지막으로 정보와 관련된 기능 장애 또한 시간 낭비의 커다란 요인이다.
[자유재량 시간]을 통합한다
P.57 시간 관리의 마지막 단계는 기록과 분석에 의해 밝혀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지식근로자의 통제 아래 있는 시간을 연속적으로 통합하는 일이다.
P.60 시간은 가장 희소한 자원이므로, 그것을 관리하지 못하면 아무것도 관리하지 못한다. 게다가 자신의 시간을 분석하는 것은, 자신의 업무에서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간단하면서도 체계적인 하나의 방법이다.
시간의 관리에 대한 피터 드러커의 지혜를 짧은 시간에 통째로 얻은 느낌이다. 내 습관으로 만들기위해 시간의 3단계(실제 사용 시간 진단>> 낭비요인을 제거>>시간통합)를 오늘부터 시작해보려고 한다.
반응형'기록 Memorize > Review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피터드러커#2(The effective executive-Peter drucker) (0) 2021.05.23 경제 저격수의 고백-존퍼킨스(Hoodwinked: An Economic Hit Man Reveals Why the World Financial Markets Imploded – and What We Need to Do to Remake Them) (0) 2021.05.16 화폐전쟁 1. 달러의 종말 - 쑹훙빙 : Currency Wars (0) 2021.05.09 경영의 모험-존 브룩스(Business Adventures-John Brooks) (0) 2021.05.09 [일본드라마]일드보는 곳+일드추천#2(2020) (0) 2021.05.08